[20250826 특별 세미나] EXAONEPath 1.0 Patch-level Foundation Model for Path…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희지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9-01 11:02

본문

[일시] 2025.08.26

[리뷰 논문] EXAONEPath 1.0 Patch-level Foundation Model for Pathology

[요약]
EXAONEPath는 병리학 Whole Slide Image(WSI)에서 발생하는 WSI-specific feature collaps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Patch-level Foundation Model이다. 이 모델은 stain normalization과 DINO(self-distillation)를 결합하여, 병리학 이미지에서 라벨 없이도 강력한 표현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었다.

기존 Foundation Model(DINO, CLAM 기반 모델 등)은 병리학 데이터에서 기관별 염색 편차, 해상도 차이, 스캐너별 색상 불일치로 인해 동일 WSI 내부 패치끼리만 군집화되는 feature collapse 문제가 발생하여 일반화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EXAONEPath는 모든 patch에 Macenko stain normalization을 선행 적용하여 색상 차이를 균일화하고, DINO를 통해 라벨 없이도 patch 표현을 학습한다. Teacher 모델은 Student 모델의 EMA로 갱신되며 global view만 입력받고, Student는 global view와 local view를 모두 입력받아 서로 일관된 표현을 내도록 학습된다. 또한 DINO의 random crop augmentation을 통해 다양한 시야 범위에서도 견고한 특징 표현을 학습한다.

EXAONEPath는 34,795개의 H&E 염색 WSI(총 2.8억 patch)로 학습되었으며, PCAM, MHIST, CRC-100K, TIL Detection, MSI-CRC, MSI-STAD의 6개 다운스트림 분류 과제에서 평가되었다. Linear evaluation 설정에서 평균 정확도 0.861을 달성했고, 특히 MSI-CRC(0.756)와 MSI-STAD(0.804)에서 최고 성능을 보였다. 또한 t-SNE 시각화에서 기존에 뚜렷하던 WSI별 군집 현상이 완화되어, feature collapse가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EXAONEPath는 WSI-specific feature collapse 문제를 최초로 제기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연구로, stain normalization과 self-distillation 조합을 통해 데이터와 파라미터가 제한적임에도 SOTA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하였다. 이는 병리학 특화 foundation model 학습에서 색상 표준화와 시야 다양성 확보가 핵심이라는 점을 보여주었으며, 효율적이고 범용적인 병리학 representation 학습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논문이다.

[녹화 영상 링크]
https://us06web.zoom.us/rec/share/xllHlvN91l8CzzCw-17VGl4gNofPfB4FYTVfsA51wcc8lHOII_9DKd7yo0F4G4Zg.4Y6H-4P32Oe6PWE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